1. 프로세스 - 실행중인 프로그렘 - 디스크에 저장된 실행 파일이 메모리에 적재될 때 비로소 프로세스가 된다. - 텍스트 세션: 실행 코드 - 데이터 세션: 전역변수 - 힙 세션: 프로그램 실행 시 동적으로 할당되는 메모리 - 스택 세션: 함수 호출 시 임시 데이터 저장 프로세스 상태 별 설명 New: 프로세스 생성 중 Running: 명령어들이 실행 중 Waiting: 프로세스가 어떤 사건이 일어나기를 기다림 Ready: 프로세스가 처리기에 할당 되기를 기다림 Terminated: 프로세스 실행이 종료 각 프로세스는 운영체제에서 프로세스 제어 블록 PCB에 의해 표현됨 프로그램 카운터: 프로세스가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 CPU 레지스터 메모리 관리 정보 CPU 스케줄링 정보 2. 프로세스 스케줄..
1. 컴퓨터 시스템의 기본 구성 하드웨어(CPU, 메모리, I/O) 운영체제: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을 제어, 조정하는 역할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 2. 운영체제의 정의와 하는 일 정의 커널은 컴퓨터에서 항상 실행되는 하나의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으로서 모든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시스템 운영과 관련 있는 응용 프로그램 하는 일 리소스 할당의 주체: 모든 리소스를 관리하고 자원에 대해 충돌되는 요청 사이에서 효율적이고 공정하게 사용, 리소스 분배 제어 프로그램: 프로그램 실행을 제어, 오류 및 부적절한 사용 방지 하나 이상의 CPU, 장치 컨트롤러는 공유된 메모리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공용 버스를 통해 연결되고, 메모리를 두고 경쟁하는 CPU와 디바이스의 동시 실행 3. 컴퓨터 시스템의 작동 * ..

1강 개념 2강 도커, 도커 컴포즈, 도커 허브 3강 도커, 도커허브 설치 및 도커허브 회원가입 4강 도커 작동 원리 5강 도커 이미지 삭제하기 6강 컨테이너 실행하기 7강 컨테이너 포트포워딩 및 데몬으로 실행 8강 모든 image 한번에 삭제하는 명령어 9강 docker dit 옵션과 attach 10강 docker exec 명령어 변경 11강 docker volumn 옵션으로 폴더 연결하기 12강 docker commit 이미지 굽기와 docker hub 업로드 13강 docker file step1 - 굽기 14강 docker file step2 - Entrypoint와 Workdir 15강 docker file step3 - RUN 명령어 16강 docker file step4 - nginx 내부..

AWS배포_2장 [리눅스 12차시 ~ 24차시] 리눅스 명령어1~13 AWS배포_3장 [배포V1 25차시 ~ 37차시] 흐름 이해하기 프로젝트 만들기 EC2 서버 생성 및 고정IP 설정 배포완료 nohup 백그라운드 실행 로그파일 변경 표준출력, 표준에러 분리 타입존변경 및 종료스크립트 작성 cron 주기적실행 스크립트로 cron 등록 cron으로 프로젝트 재시작 재배포 프로세스 이해 재배포하기 [배포V2 38차시 ~ 49차시] V2 소개 EC2서버 생성 및 고정IP 설정 환경변수와 bashrc 환경변수를 특정파일에만 적용 재배포를 고려하여 cron 종료 서버종료 및 프로그램 설치 기존서버종료 및 프로그램설치 두번째 프로젝트 다운로드 및 빌드 서버 실행하기 cron 등록 배포 파일 압축하기 배포 스크립트..

EC2(Elastic Compute Cloud) 특징: 독립된 컴퓨터를 임대해주는 서비스로 원하는 만큼 가상 서버를 구축하고 보안 및 네트워크 구성과 스토리지 관리가 가능. 요구사항이나 갑작스러운 트래픽 증가 등 변동 사항에 따라 신속하게 규모를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어 서버 트래픽 예측 필요성이 줄어든다. 컴퓨팅 요구사항에 따라 컴퓨팅 파워를 조정 실제로 사용한 용량 만큼만 지불 OS 쉽게 선택 가능 머신러닝, 웹서버, 게임서버, 이미지 처리 등 다양한 용도에 최적화된 서버를 쉽게 구성할 수 있음 구성(인스턴스/EBS/ENI) 컴퓨팅(CPU/RAM)에 해당하는 인스턴스 하드디스크에 해당하는 EBS 랜카드에 해당하는 ENI: 랜카드는 한 네트워크 안에서 컴퓨터간 신호를 주고받는 데 쓰는 하드웨어이다. ..

AWS 글로벌 인프라 구성 Infrastructure Region: AWS의 서비스들이 제공되는 서버의 물리적인 국가/도시 단위의 위치. 특징: 네트워크 속도 때문에 각 지역마다 둔다. / 각종 재해에 대비한다. / 데이터 지역성 보장과 같은 법률 규제를 준수한다. Availability Zones: 각 리전 안의 데이터센터. 특징: AZ 건물들은 100km 이내의 거리에 위치. 가용영역을 랜덤으로 매핑함으로서 민감한 데이터를 저장해도 어디 데이터 센터에 저장되는 추측할 수 없게 되어 보안적인 효과를 얻게 된다. 각 계정의 개인적인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고 트래픽을 분산한다. Edge Location: aws의 CDN들의 여러 서비스들을 가장 빠른 속도로 제공하기 위한 거점. 전 세계의 여러 장소에 흩어..

* 컴퓨팅 서비스(Computing Service) EC2(Elastic Compute Cloud) 가장 널리 쓰이는 인프라로 물리 환경의 컴퓨터처럼 컴퓨팅 리소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사용한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형태. 가상머신으로 제공되며 인스턴스라고 불린다. 안정성을 위해 여러 AWS 리전과 가용 영역에 걸쳐 배포. Auto Scaling 트래픽에 따라 EC2 인스턴스들을 자동으로 확장하거나 제거해주는 서비스. ELB와 함께 사용되는 기능으로 특정 트래픽 초과 시 자동으로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다시 트래픽이 줄어들면 추가 생성했던 EC2 인스턴스들을 삭제하는 유연한 서비스 Lambda(Serverless Computing) 모든 유형의 애플리케이션이나 백엔드 서비스에 대한 코드를 별도의 관리 없이..

AWS 클라우드 용어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사람이 개입하지 않아도 시스템이 항상 작동하고 자동으로 오류를 복구해 가동 중지를 최소화하도록 보장하는 것. 서버와 네트워크, 프로그램 등의 시스템이 오랜 기간동안 지속적으로 정상 운영 가능한 성질, 고장나도 복구해서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는 능력. 내결함성 / 장애내구성 하드웨어 오류가 발생했을 때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는 컴퓨터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기능. 시스템의 일부 구성요소에 장애가 있어도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는 능력. 고가용성O / 장애내구성X 장애가 생겨도 장애를 복구해서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지만 수리를 하는 동안에는 복구 불가능 ex) 자동차 타이어가 터졌을 때 복구해서 다시 달릴 수 있지만 수리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