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리눅스 기본 명령어
1. Login / Logout
telnet: 유닉스 시스템에 접속
logout: 유닉스 시스템에서 접속 해제
exit: 유닉스 시스템에서 접속 해제
2. Process management
ps: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정보를 출력
kill -9 pid: process 강제 종료
3. File/directory
ls: 디렉토리 내용 출력
cd: 현재 디렉토리 변경
cp: 파일/디렉토리 복사
mv 파일명 폴더명: 파일/디렉토리 이름변경과 이동
rm: 파일/디렉토리 삭제
mkdir: 디렉토리 생성
rmdir: 빈 디렉토리 삭제
cat: 파일 내용 출력
more: 파일 내용 쪽단위 출력
chmod: 파일 접근권한 변경
grep: 패턴 검색
4. Others
su: 사용자 계정 변경
tar: 파일/디렉토리 묶기
whereis, which: 파일 위치 검색
* Man Page: 리눅스 시스템 사용 설명서
$ man [options] [section] page
- page: 검색하려는 명령어/함수 이름
- section: page의 소속 구분
- 1) Shell cmd, 2) System call, 3) Std. library
- Options
Hello Linux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 make a folder
$ cd ~
$ mkdir folder name
$ cd folder name
- VI editor
$ vi helloLinux.c
입력모드 전환: i
- compile
gcc -o hello.out[실행파일] helloLinux.c[작성한 파일]
- 실행
./hello.out
* gcc -o hello.out helloLinux.c 컴파일 시 error
=>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gcc
=> gcc를 찾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 GNU C compiler
$ gcc[options] filename
- Options
-c: object file만 생성
-o: execution file name 지정
* Makefile: 소스코드가 있는 폴더에 위치
- Compile 방법을 기술하는 파일
- 여러 파일로 구성된 프로젝트 설정과 비슷한 개념
Make
- 주어진 Makefile에 따라 compile을 수행하고 실행파일을 생성
- 최초 컴파일 이후에는 변경이 있는 파일만 컴파일 함
출처: SPIN Lab. KOREATECH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시스템 프로그래밍 2강 - 파일개요/기본 명령 (1) | 2025.07.04 |
---|---|
리눅스 시스템 프로그래밍 1강 - 개요 및 환경설정 (0) | 2025.05.29 |
6. 리디렉션과 파이프라인 (0) | 2023.04.03 |
5. 프로세스와 시그널 (0) | 2023.04.03 |
4. 사용자와 그룹 (0) | 2023.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