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204 상태코드

1. 200와의 차이

- 204는 No Content, HttpResponsebody가 아예 존재하지 않음

- 200은 HttpResponsebody에 null, false 등으로 응답

 

2. 왜 굳이 204를 사용할까?

- 삭제 요청으로 자원을 삭제하여 더 이상 존재하지 않고 그 자원을 참조하는 모든 자원도 삭제되어 더 이상 http body를 응답하는 것이 무의미해졌을 때 사용.

- 본문 없는 응답을 위한 상태코드로 서버에서 잘못되게 본문을 포함한 응답을 전달한 경우 존재할 수 있다.

 

https://velog.io/@server30sopt/204-NOCONTENT%EC%97%90-%EB%8C%80%ED%95%B4-%EC%95%84%EC%8B%9C%EB%82%98%EC%9A%94

 

204 NO_CONTENT에 대해 아시나요?

그 중에서도 2XX인 상태코드는 성공을 뜻하며 저희를 기분좋게 합니다. 하지만 204는 뭘까요?검색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가 뜹니다.204 No Content이것은 성공했는데 그 안에 내용이 없다는 것일까요?

velog.io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